LayerPopupAddon

logo

  • 로그인
  • 회원가입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 종중소개
    • 인사말
    • 종중유래
    • 임원
    • 사업개요
    • 종중계보
    • 종중화보
    • 관련종중
    • 종중 자료실
    • 오시는 길
  • 중중소식
    • 공지사항
    • 종중소식
    • 종인 동정
    • 지파 종중
    • 대종중
    • 집의공파 종중
    • 직제학공파종중
    • 영흥공파 종중
  • 전주류씨 소개
    • 전주류씨 유래
    • 전주류씨 족보 서문
    • 전주류씨 종파
      • 전주 류씨 종파(2세∼9세)
      • 2세 직제학공 산하 종파(3세∼9세)
      • 4세 집의공파 산하 종파(5세∼13세)
      • 6세 낙봉공 산하 종파(7세∼12세)
    • 전주류씨 항렬표
    • 전주류씨 자료실
    • 전주류씨 간행물
  • 보학상식
    • 족보
    • 촌수계산법
    • 조선시대 제도
    • 성씨와 본관
    • 항렬과 이름
    • 친척 호칭
    • 제사 의식
    • 경조문
    • 묘소 용어
  •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
    • 자유 게시판
    • 건의사항
  • 인터넷 족보
    • 인터넷족보 열람

서브페이지

home 종중소개
  • 인사말
  • 종중유래
  • 임원
  • 사업개요
  • 종중계보
  • 종중화보
  • 관련종중
  • 종중 자료실
  • 오시는 길

관련종중
전주류씨대종중
전주류씨전릉부원군종중
  • home
  • 종중소개
  • 종중 자료실

Home 종중소개 종중 자료실
T기본글꼴
  • 기본글꼴✔
  • 나눔고딕✔
  • 맑은고딕✔
  • 돋움✔
✔ 뷰어로 보기
선조의 역사적 기록
2021.09.01 13:36

2세 직제학공(휘 극서)의 역사적 기록(고려사, 고려사 절요)

admin
조회 수 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고려사(高麗史)

신우 계해 9년(1383년)

양광도 안렴사 류극서(柳克恕)와 교주도 안렴사 최자(崔資)에게 내구(內廐)의 말을 1필씩 주었다.

 

신우 을축 11년(1385년)

내시 김실이 본처를 버리고 다시 어떤 사족(士族)의 딸에게 장가 들려고 결혼날 휴가를 청하였더니 신우가 말하기를 㰡’네 처 될 사람을 나에게 보인 연후에 장가 들어야 한다㰡“라고 하였다. 그래서 김실이 숙비를 통하여서 휴가 허락을 받고 장가도 들었으나 신우가 마음 속으로 이것을 앙심을 품고 다른 일에 구실을 붙여서 김실을 순군에 가두고 죽이고자 하였다. 김실이 도주하였으므로 대수색을 하고 그 날 당직인 천호(千戶) 류극서(柳克恕)를 옥에 가두었다. 구정(毬庭)에서 열병식을 거행하고 신우가 순군으로 말을 달려 가서 류극서에게 욕하기를 “네가 만약 김실을 붙잡지 못하면 김실의 죄를 네가 대신으로 받을 것이다㰡“라고 하였다.

 

신우 정묘 13년(1387년)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 임수(任壽),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 류극서(柳克恕), 전공 판서(典工判書) 김승귀(金承貴)로 하여금 제2, 제3, 제4차로 도합 말 3천 필을 압송하고 연이어 요동으로 가게 하였다.
신우 무진 14년(1388년)
연안 부사(延安府使) 류극서(柳克恕)와 내시 김실(金實)을 죽였다. 류극서는 임견미의 문객이며, 이존성(李存性)의 말을 듣고 가만히 김실을 탈옥케 한 사람이다.

 

2)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계해 신우9(1383)년  

○ 2월에 양광도 안렴 류극서(柳克恕)와 교주도 안렴 최자(崔資)에게 나라 마구의 말을 각각 한 필씩 주었다.

 

을축 신우11(1385)년  

봄 정월 ○환관 김실이 도망갔다. 과거에 실이 아내를 버리고 다시 사족의 딸에게 장가들려 하니, 우가 말하기를, "그 여자를 내게 보인 연후에야 장가들 수 있다."고 하였다. 실이 용덕을 통하여 그러지 말기를 청하니, 우가 허락하였다. 그래서 실이 그 여자를 우에게 보이지 않고 장가들었는데, 우가 감정을 품고 다른 일로 칭탁하여 실을 순군옥에 가두고 죽이려 하므로, 실이 도망갔다. 우는 영을 내려 크게 수색하며 당직했던 천호 류극서(柳克恕)를 옥에 가두었다.

 

 

Prev 7세 활탄공(휘 세린) 연보 7세 활탄공(휘 세린) 연보 2021.09.01by 3세 영흥공(휘 빈)의 역사적 기록(조선왕조실록) Next 3세 영흥공(휘 빈)의 역사적 기록(조선왕조실록) 2021.09.01by
0

추천

0

비추천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디터 선택하기
✔ 텍스트 모드 ✔ 에디터 모드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종중 자료실

Category
  • 선조의 관직과 품계 관련 자료
  • 선조 관련 자료
  • 선조의 역사적 기록
  • 낙봉공 묘역 향토유적지정 신청자료
  • 선조묘소 위치도
  • 전주류씨낙봉공종중 규약
  • 낙봉공 시향 홀기
  • 낙봉공 시향 축문
  • List
  • Zine
  • Gallery
  1. 선조(1세∼7세)의 관직 및 작위

    Category선조의 관직과 품계 관련 자료
    Read More
  2.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1)

    Category선조의 관직과 품계 관련 자료
    Read More
  3.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2)

    Category선조의 관직과 품계 관련 자료
    Read More
  4. 조선시대의 관제와 기능

    Category선조의 관직과 품계 관련 자료
    Read More
  5. 조선의 관제와 용어 설명

    Category선조의 관직과 품계 관련 자료
    Read More
  6. 시조의 선대, 시조와 시조비 기록

    Category선조 관련 자료
    Read More
  7. 3세 영흥공(휘 빈) 종릉 사적

    Category선조 관련 자료
    Read More
  8. 7세 활탄공(휘 세린) 연보

    Category선조 관련 자료
    Read More
  9. 2세 직제학공(휘 극서)의 역사적 기록(고려사, 고려사 절요)

    Category선조의 역사적 기록
    Read More
  10. 3세 영흥공(휘 빈)의 역사적 기록(조선왕조실록)

    Category선조의 역사적 기록
    Read More
쓰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logo
  • 종중소개
  • 중중소식
  • 전주류씨 소개
  • 보학상식
  • 참여마당
  • 인터넷 족보

04920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53 용담빌딩 전주류씨낙봉공파종중(Tel. 02-466-3502, FAX겸용)

COPYRIGHT © 전주류씨낙봉공파종중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