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yerPopupAddon

logo

  • 로그인
  • 회원가입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 종중소개
    • 인사말
    • 종중유래
    • 임원
    • 사업개요
    • 종중계보
    • 종중화보
    • 관련종중
    • 종중 자료실
    • 오시는 길
  • 중중소식
    • 공지사항
    • 종중소식
    • 종인 동정
    • 지파 종중
    • 대종중
    • 집의공파 종중
    • 직제학공파종중
    • 영흥공파 종중
  • 전주류씨 소개
    • 전주류씨 유래
    • 전주류씨 족보 서문
    • 전주류씨 종파
      • 전주 류씨 종파(2세∼9세)
      • 2세 직제학공 산하 종파(3세∼9세)
      • 4세 집의공파 산하 종파(5세∼13세)
      • 6세 낙봉공 산하 종파(7세∼12세)
    • 전주류씨 항렬표
    • 전주류씨 자료실
    • 전주류씨 간행물
  • 보학상식
    • 족보
    • 촌수계산법
    • 조선시대 제도
    • 성씨와 본관
    • 항렬과 이름
    • 친척 호칭
    • 제사 의식
    • 경조문
    • 묘소 용어
  •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
    • 자유 게시판
    • 건의사항
  • 인터넷 족보
    • 인터넷족보 열람

서브페이지

home 종중소개
  • 인사말
  • 종중유래
  • 임원
  • 사업개요
  • 종중계보
  • 종중화보
  • 관련종중
  • 종중 자료실
  • 오시는 길

관련종중
전주류씨대종중
전주류씨전릉부원군종중
  • home
  • 종중소개
  • 종중 자료실

Home 종중소개 종중 자료실
T기본글꼴
  • 기본글꼴✔
  • 나눔고딕✔
  • 맑은고딕✔
  • 돋움✔
✔ 뷰어로 보기
낙봉공 시향 홀기
2021.09.01 14:29

낙봉공 시향 홀기

admin
조회 수 1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駱峯公 墓祀 笏記

 (하단의 용어설명을 참조하시오)

   

時祀 準備

        

執禮:先就再拜 墓庭立(집례 : 선취재배 묘정립)

집례는 먼저 안내에 따라 재배하고 묘정에 서시오

諸子孫 墓庭 拜位序立(제자손 묘정 배위서립)

모든 자손은 묘정 절 위치에 차례로 서시오

獻官 諸執事 盥洗位「盥洗」(헌관 제집사 관세위 [관세])

헌관과 모든 집사는 세수 그릇으로 가시오 [세수하시오]

皆詣下 拜位序立(개예하 배위서립)

모두 절 위치에 서시오.

初獻官 祭物陳設 點視 降復位(초헌관 제물진설 점시 강복위)

초헌관은 제물차림을 살핀 후 제자리로 물러가시오

 

 

行 降神禮                 ※沙溪曰 墓祭先降 後參」云

初獻官詣 墓位前跪 俯伏(초헌관예 묘위전궤 부복)

초헌관은 묘 앞에 무릎을 꿇고 엎드리시오

奉香奉爐 進于 獻官之左右(봉향봉로 진우 한관지좌우)

봉향, 봉로는 헌관 좌우로 나아가시오

奉爵奠爵 進于 獻官之左右(봉작전작 진우 헌관지좌우)

봉작, 전작은 헌관 좌우로 나아가시오

獻官 三上香(헌관 삼상향)

헌관은 향을 세 번 피우시오

奉爵奉考位盞飯 斟酒進于獻官(봉작봉고위 잔반 침주진우헌관)

봉작은 고위 술잔을 받들어 술을 따른 다음 헌관에 드리시오

獻官受酌以 三灌于地*(헌관수작이 삼관우지) *土地神

헌관은 잔을 받아 땅에 3번 따르시오

以盞 授奠爵 奠爵受以 故處(이잔 수전작 전작수이 고처)

잔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이를 받아 본래 자리에 놓으시오

獻官 俛.伏.興 小退再拜 降復位(헌관 면,복,흥 소퇴재배 강복위)

헌관은 머리를 숙이고 엎드리시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재배한 다음

자리로 돌아가시오

 

行 參神禮

參神, 獻官以下 皆 再拜(참신, 헌관이아 개 재배)

참신 예를 올립니다. 헌관 이하 모두 재배하시오

拜 .興 .拜 .興. 平身」([배, 흥, 배, 흥, 평신])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몸을 펴시오

 

行 初獻禮

 

初獻官 詣墓位前跪 俯伏(초헌관예 묘위전궤 부복)

초헌관은 묘 앞에 와서 무릎을 꿇고 엎드리시오

奉爵奉 考位盞飯 斟酒進于 獻官(봉작봉 고위잔반 침주진우 헌관)

봉작은 고위 술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다가가 술을 따르시오

獻官受酌以 祭于地 以授奠爵(헌관수작이 제우지 이수전작)

헌관은 술을 따르게 한 후 땅에 지우시고 전작에게 주시오

奠爵 受盞飯 以奠于 神位前(전작 수잔반 이전우 신위전)

전작은 술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리시오

獻官 俛.伏.興 小退 跪(헌관 면, 부, 흥 소퇴 궤)

헌관은 머리를 숙이고 엎드리시오.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무릎을 꿇으시오.

妣位 亦如行(비위 역여행) (妣位가 한분 더 있으면 “又奉”)

비위 역시 같은 절차를 따라 하시오

獻炙(肉) 啓飯盖 正箸(헌적(육) 계반개 정저)

고기적을 올리시오. 밥두껑을 열고 수저를 바르게 정리하시오

獻官以下 皆 俯伏(헌관이하 개 부복)

헌관이하 모두 엎드리시오

祝官 詣 獻官之左跪 取祝(축관 예 헌관지좌궤 취축)

축관은 나와서 헌관 왼쪽에 무릎을 꿇고 축문을 취하시오

讀祝, 諸官 諸位 興(독축, 제관 제위 흥)

축을 낭독하시오. 제관 제위 일어서시오

獻官 小退 再拜 降復位(헌관 소퇴 재배 강복위)

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한 다음 자리로 돌아가시오

 

行 亞獻禮

 

亞獻官 詣墓位前 跪 俯伏(아헌관 예 묘위전 궤 부복)

아헌관은 묘 앞에 와서 무릎을 꿇고 엎드리시오

奉爵奉 考位盞飯 斟酒進于 獻官(봉작봉 고위잔반 침주진우 헌관)

봉작은 고위 술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다가가 술을 따르시오

獻官受酌以 祭于地 以授奠爵(헌관수작이 제우지 이수전작)

헌관은 술을 따르게 한 후 땅에 지우시고 전작에게 주시오

奠爵 受盞飯 以奠于 神位前(전작 수잔반 이존우 신위전)

전작은 술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리시오

獻官 俛.伏.興 小退 跪(헌관 면, 복, 흥 소퇴 궤)

헌관은 머리를 숙이고 엎드리시오.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무릎을 꿇으시오.

妣位 亦如行(비위 역여행) (妣位가 한분 더 있으면 “又奉”)

비위 역시 같은 절차를 따라 하시오

獻炙(魚) (헌적(어))

물고기적을 올리시오

俛.伏.興 小退 再拜 降復位(면, 복, 흥 소퇴 재배 강복위)

머리를 숙이고 엎드리시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재배한 다음 자리로 돌아가시오

 

行 終獻禮

 

終獻官 詣墓位前 跪 俯伏(종헌관 예 묘위전 궤 부복)

종헌관은 묘 앞에 와서 무릅을 꿇고 엎드리시오

奉爵奉 考位盞飯斟酒 進于獻(봉작봉 고위잔반침주 진우헌)

봉작은 고위 술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다가가 술을 따르시오

獻官受酌以 祭于地 以授奠爵(헌관수작이 제우지 이수전작)

헌관은 술을 따르게 한 후 땅에 지우시고 전작에게 주시오

奠爵 受盞飯 以奠于 神位前(전작 수잔반 이존우 신위전)

전작은 술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리시오

獻官 俛.伏.興 小退 跪(헌관 면, 복, 흥 소퇴 궤)

헌관은 머리를 숙이고 엎드리시오.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무릎을 꿇으시오.

妣位亦如行(비위역여행) (妣位가 한분 더 있으면“又奉”)

비위 역시 같은 절차를 따라 하시오

獻炙(鷄)(헌적(계))

닭고기 적을 올리시오

俛.伏.興 小退 再拜 降復位(면, 복, 흥 소퇴 재배 강복위)

머리를 숙이고 엎드리시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재배한 다음 자리로 돌아가시오

 

行 侑食禮

 

初獻官 詣墓位前 跪 俯伏(초헌관 예 묘위전 궤 부복)

초헌관은 묘 앞에 나와 무릅 꿇고 얻드리시오

奉爵奉 他盞飯斟酒 進于獻官(봉작봉 타잔반침주 진우헌관)

봉작은 다른 술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가서 술을 따르시오

獻官受酌以 還授奠爵(헌관수작이 환수전작)

헌관은 술을 따르게 한 후 전작에게 되돌려주시오

奠爵受以 添酌于 考位前盞飯(전작수이 첨작우 고위전잔반)

전작은 받아서 첨작하여 고위 앞에 술잔을 놓으시오

妣位 亦如行(비위 역여행) (妣位가 한분더 있으면“又奉”)

비위 역시 같은 절차를 행하시오

俛.伏.興 小退再拜 降復位(면, 복, 흥 소퇴재배 강복위)

구부리고 엎드렸다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고 물러가시오

揷匙 正箸(삽시 정저)

밥그릇에 수저를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하시오

獻官以下 皆 俯伏(헌관 이하 개 부복)

헌관 이하 모두 엎드리시오

祝官 神位前 噫歆 三聲(축 신위전 희흠 삼성)

축관은 신위 앞에 기침 소리 세 번 내시오

諸官諸位 興平身(제관제위 흥평신)

제관 제위 일어나시오

撤羹 進茶(철갱 진다)

국을 물리고 차를 놓으시오

三侑飯于 茶器中(삼유반우 다기중)

밥을 세 숟가락 떠서 다기 속에 넣으시오

肅俟小傾 平身 落匙箸.合飯蓋(숙사소경 평신 낙시저.합반개)  사

엄숙하게 고개를 숙이고 기다리시오. 고개를 드시오. 수저를 내리고 밥두껑을 덮으시오

 

行 辭神禮

 

獻官以下 皆 再拜(헌관이하 개 재배)

헌관 이하 모두 두 번 절하시오

「拜 .興 .拜 .興. 平身」([배, 흥, 배, 흥, 평신)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몸을 펴시오

 

끝맺음

 

執禮: 初獻官前 告禮成 (집례: 초헌관전 고례성)

집례는 초헌관 앞에서 예를 고하시오

祝官은 取祝 香案前 焚之(축관: 취축 향안전 분지)

축관 : 축을 향노소반 앞에서 불사르시오

執事: 撤饌(집사 : 철찬)

집사는 음식을 철수하시오

禮畢(예필)

제례를 마치겠습니다.

 

[홀기 용어 설명]

 

* 홀기(笏記) : 혼례나 제례때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

* 창홀(唱笏) : 홀기를 낭독함.

* 집례(執禮) : 행사 진행을 맡아 홀기를 낭독하는 사람.

* 알자(謁者) : 헌관과 집사를 행사 위치로 안내 하는 사람.

* 찬인(贊引) : 헌관과 집사에게 절차와 동작을 인도하고 답홀하는 사람.

* 봉향(奉香) : 향합을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는 사람(우집사)

* 봉로(奉爐) : 향로를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는 사람(좌집사)

* 봉작(奉爵) : 술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는 사람(우집사)

* 전작(奠爵) : 헌관으로부터 술잔을 받아 신위전에 올리는 사람(좌집사)

* 축관(祝官) : 축문을 작성하여 독축하고 불사르는 사람.

* 예필(禮畢) : 예를 마침.* 독축(讀祝) : 축을 읽음.

* 분축(焚祝) : 축을 불로 태움.* 초헌관(初獻官) : 제일 먼저 잔을 올리는 사람.

* 아헌관(亞獻官) :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사람.

* 종헌관(終獻官) :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사람.

* 전사관(典祀官) : 제수 준비와 진설을 맡아 지휘하는 책임자.

* 거멱작주(擧冪酌酒) : 술 항아리의 덮개를 열고 술을 따름.

* 삽시정저(揷匙正箸) :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함.

Prev 전주류씨낙봉공종중 규약 전주류씨낙봉공종중 규약 2021.09.01by 낙봉공 시향 축문 Next 낙봉공 시향 축문 2021.09.01by
0

추천

0

비추천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디터 선택하기
✔ 텍스트 모드 ✔ 에디터 모드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종중 자료실

Category
  • 선조의 관직과 품계 관련 자료
  • 선조 관련 자료
  • 선조의 역사적 기록
  • 낙봉공 묘역 향토유적지정 신청자료
  • 선조묘소 위치도
  • 전주류씨낙봉공종중 규약
  • 낙봉공 시향 홀기
  • 낙봉공 시향 축문
  • List
  • Zine
  • Gallery
  1. 낙봉공 묘역 향토유적지정 신청자료

    Category낙봉공 묘역 향토유적지정 신청자료
    Read More
  2. 전주류씨낙봉공종중 규약

    Category전주류씨낙봉공종중 규약
    Read More
  3. 낙봉공 시향 홀기

    Category낙봉공 시향 홀기
    Read More
  4. 낙봉공 시향 축문

    Category낙봉공 시향 축문
    Read More
쓰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logo
  • 종중소개
  • 중중소식
  • 전주류씨 소개
  • 보학상식
  • 참여마당
  • 인터넷 족보

04920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53 용담빌딩 전주류씨낙봉공파종중(Tel. 02-466-3502, FAX겸용)

COPYRIGHT © 전주류씨낙봉공파종중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