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 로그인
  • 회원가입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 종중소개
    • 인사말
    • 종중유래
    • 임원
    • 사업개요
    • 종중계보
    • 종중화보
    • 관련종중
    • 종중 자료실
    • 오시는 길
  • 중중소식
    • 공지사항
    • 종중소식
    • 종인 동정
    • 지파 종중
    • 대종중
    • 집의공파 종중
    • 직제학공파종중
    • 영흥공파 종중
  • 전주류씨 소개
    • 전주류씨 유래
    • 전주류씨 족보 서문
    • 전주류씨 종파
      • 전주 류씨 종파(2세∼9세)
      • 2세 직제학공 산하 종파(3세∼9세)
      • 4세 집의공파 산하 종파(5세∼13세)
      • 6세 낙봉공 산하 종파(7세∼12세)
    • 전주류씨 항렬표
    • 전주류씨 자료실
    • 전주류씨 간행물
  • 보학상식
    • 족보
    • 촌수계산법
    • 조선시대 제도
    • 성씨와 본관
    • 항렬과 이름
    • 친척 호칭
    • 제사 의식
    • 경조문
    • 묘소 용어
  •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
    • 자유 게시판
    • 건의사항
  • 인터넷 족보
    • 인터넷족보 열람

서브페이지

home 보학상식
  • 족보
  • 촌수계산법
  • 조선시대 제도
  • 성씨와 본관
  • 항렬과 이름
  • 친척 호칭
  • 제사 의식
  • 경조문
  • 묘소 용어

관련종중
전주류씨대종중
전주류씨전릉부원군종중
  • home
  • 보학상식
  • 촌수계산법

 

촌수계산[계촌법]

 

촌수는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한 마디(1촌)로 간주하여 계산된다. 즉, 나와 부모사이는 한 마디로 1촌관계에 있다.   형제자매와 나의 촌수는 같은 부모의 자식이기에, 나와 부모간의 1촌과 부모와 나의 형제·자매까지의 1촌을 합하여 2촌 관계에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아버지의 형제들은 나와 아버지 1촌, 아버지와 할아버지 1촌,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형제들 1촌을 더하여 3촌 관계에 있는 셈이다. 3촌의 자녀들은 나의 4촌이며, 그들의 자녀들은 나의 5촌 조카들(당질)이다.

 

 <친족의 호칭과 촌수>
이런 친소(親疎- 가깝고 먼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촌수가 친족 호칭으로 대용되고 있는 것은 대체로  3, 4, 5, 6, 7, 8촌에 국한되어 있는 것 같다. 친족호칭으로서 촌수 중 가장 먼거리에 있는 것이 8촌인 점은 조상 제사를 고조(高祖)까지의 4대 봉사(奉祀)를 원칙으로 하였고, 이러다보니 8촌까지의 친족원들은 빈번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짝수는 모두 나와 같은 항렬이 사람들이고, 홀수는 모두 나의 윗항렬(아저씨) 아니면 아랫항렬(조카)의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 촌수는 친소(親疎)관계의 척도로서는 효과적이지만, 이것이 어느 세대임은 분명히 해주지 못한다.(예, 5촌은 당질(조카) 이기도 하고, 당숙(아저씨)이기도 하다.)  

숙(叔)은 아저씨, 질(姪)은 조카

그래서 친족호칭에서 조(祖), 숙(叔), 형(兄), 질(姪), 손(孫) 등의 세대를 표시하는 호칭과 종(從), 재종(再從), 삼종(三從) 등의 친소의 정도를 표시하는 접두어의 조합으로 다양한 호칭이 생겼다.

 

 

 

logo
  • 종중소개
  • 중중소식
  • 전주류씨 소개
  • 보학상식
  • 참여마당
  • 인터넷 족보

04920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53 용담빌딩 전주류씨낙봉공파종중(Tel. 02-466-3502, FAX겸용)

COPYRIGHT © 전주류씨낙봉공파종중 ALL RIGHTS RESERVED.